모토GP 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설명 2부
배너를 클릭하시면 로 이동합니다.
모토GP 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설명 2부
모토GP 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설명 2부
<PARC FERMÉ>
<parc ferme> 은 퀄리파잉 또는 레이스에서 1, 2, 3등이
모여 인터뷰를 하거나 촬영 등을 하는 장소입니다.
<PIT LANE>
<PIT LANE> 팀의 정비소가 있는 곳으로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피트레인을 떠나거나 세션 중에 타이어를 교체하고
연료를 보급하고 바이크의 세팅을 조정하기 위한
장소로 가장 중요한 장소 중 하나입니다.
<POLE POSITION>
<POLE POSITION>은 퀄리파잉(예선전)에서 가장 빠른 라이더는 폴 포지션을
획득했다고 표현합니다. 폴 포지션의 라이더는 그리드
맨 앞에서 본선 전을 치르게 됩니다.
<RACE DIRECTOR>
<RACE DIRECTOR>는 MotoGP에서 Mike Webb 이 이 업무를 담당하며 그는
모든 연습 세션, 예선 및 레이스가 안전하고 모든
팀과 라이더가 그 규칙을 따르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SAFETY CAR>
세이프티 카는 레이스가 시작될 때 뒤쪽에 대기하는 자동차로
첫 번째 레이스의 랩 동안 라이더들의 뒤를 따라 주행합니다.
첫 번째 랩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긴급 의료 지원이 가능하며
트랙의 상태나 안전 상태 등을 점검합니다.
(모든 세이프 티카는 BMW에서 지원합니다.)
< satellite or Independent Team 그리고 factory team >
먼저 Independent Team(독립 팀) 그리고 factory team(공장 팀)으로 표현하겠습니다.
이 두 팀은 차이 점이 있습니다. Repsol Honda 및 Monster Energy Yamaha와 같은 factory team (공장 팀)들은 직접 바이크를 공장에서 생산 지원하는 모든 부분을 총괄합니다.
이는 모든 팩토리 팀은 자본력과 최고의 엔지니어, 최신의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바이크를 생산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LCR Honda 또는 Tech3 Yamaha 등과 같은 Independent Team(독립 팀)은 바이크를 직접 제작하지 않으며 공장 팀에게 바이크를 임대하거나 구입하여 레이스에 참여합니다.
그렇다 보니 독립 팀들은 팩토리 팀에 비해 1년 정도 늦은 성능의 바이크를 제공받는 경우가 있습니다.(계약에 따라 상이)
현재 MotoGP의 독립 팀은 Pramac Racing, Gresini Racing MotoGP, VR46 Racing Team, WithU Yamaha RNF MotoGP Team, LCR Honda Castrol/Idemitsu 및 Tech3 KTM Factory Racing입니다.
< SIGHTING LAP>
라이더가 레이스를 앞두고 그리드에 자리를 잡는 랩입니다.
< SLICKS>
타이어의 표면이 매끄럽고 그립이 높은 타이어 (dry tire 라고도 표현)
<SLIP STREAM>
슬립 스트림은 라이더가 다른 라이더 뒤를 빠짝 쫓아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여 추월이 용이하게 주행하는 방법입니다.
< SPEC>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스펙이 맞습니다. 라이더가 사용하는
기계의 수준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Factory-spec 이란
표현은 공장에서 생산하는 최고 수준의 바이크입니다.
< STOPPIE>
뒤 바퀴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방식으로 바이크를 멈추는 것을 표현합니다. (잭나이프)
<SWING ARM>
바이크의 몸체와 뒤 바퀴를 연결하는 부분
<TANK SLAPPER>
바이크가 좌우로 요동칠 때 라이더의 팔과 다리가 연료 탱크에 충돌되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TEAR OFF>
연습 주행이나 레이스 주행 중 더러워지는 헬멧 바이저에 투명 필름을 교체해가며 사용합니다.
<TELEMETRY>
바이크의 여러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팀의 엔지니어가
확인 및 분석하여 필요한 부분을 바이크 세팅에 적용합니다.
<TC>
‘트랙션 컨트롤’의 약자로 뒤 타이어의 회전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만약 회전이 너무 많을 경우 시스템이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여
라이더의 사고를 예방합니다.
<track limit>
트랙의 kerb 외부 구간으로 벗어나면 track limit 센서가 작동되어
free practice (연습주행) , qualifying (예선) 중에 트랙 리밋을
초과하면 실격 처리됩니다.
< TRAIL BRAKING>
라이더가 코너 진입 시 린 앵글을 적용하는 동안 계속해서
브레이킹을 하는 경우로 바이크가 최대 기울기로 눕지 않는
상태를 트레일 브레이킹이라고 합니다.
트레일 브레이킹을 하는 이유는 레이서가 직선 구간에서
코너 구간으로의 이동 시 빠른 감속 후 빠른 탈출이 목적입니다.
트레일 제동에는 앞 브레이크만 사용됩니다.
<TUCKED THE FRONT>
가장 흔한 충돌 상황으로 라이더가 코너에 진입하거나 코너를 탈출할 때
앞 타이어가 그립을 잃고로우 사이드 형태로 전도되는 것입니다
<VISOR>
헬멧에 부착되는 필름으로 다양한 형태의 바이저가 존재하며 컬러 바이저는
맑은 날씨에 사용되고 투명 바이저는 흐리거나 비가 올 때 사용됩니다.
< WARM UP LAP>
레이스 시작 직전 타이어 온도를 높이고 다가오는 레이스를 준비하는 랩입니다.
<WET RACE>
트랙이 젖거나 비가 내리는 경우 WET RACE가 선언됩니다.
<WHEELIE>
윌리는 라이더가 팬 서비스 차원에서 앞 바퀴를 들어 세리머니 하는 것을
말하며 레이스 중에 윌리는 한다는 건 그만큼 가속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도하지 않습니다.
모토GP 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설명 2부 끝